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세 재계약, 갱신요구권 제대로 알고 쓰세요! 놓치기 쉬운 핵심 포인트 정리

by homereal 2025. 4. 17.
728x90
반응형
SMALL
전세 재계약, 갱신요구권 제대로 알고 쓰세요! 놓치기 쉬운 핵심 포인트 정리 관련 사진

“2년 더 살고 싶은데, 집주인이 거절하면 어떡하죠?”

“갱신요구권은 무조건 통하는 게 아니에요!”

“전세 재계약 시 실수 한 번이면 수백만 원 손해볼 수 있습니다.”

전세 재계약 시 가장 중요하게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계약갱신요구권’입니다. 많은 세입자분들이 이 권리가 마치 절대적인 것처럼 오해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실제로는 법적 요건과 제한 조건이 명확하게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갱신요구권의 정확한 개념, 사용 방법, 주의할 점을 총정리하고 전세 재계약할 때 반드시 챙겨야 할 실무 팁도 함께 알려드릴게요.

1. 갱신요구권이란?

2020년 7월 31일부터 시행된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에 따라 세입자는 계약기간이 끝난 후, 1회에 한해 추가로 2년 계약을 연장할 수 있는 권리가 생겼습니다. 이를 계약갱신요구권이라고 합니다.

🟡 핵심 요약

  • 1회에 한해서만 행사 가능 (2025년 현재 기준)
  • 계약 만료 6개월~2개월 전 사이에 집주인에게 의사표현 필요
  • 임대인이 특별한 사유 없이 거절하면 무효

2. 임대인이 거절할 수 있는 정당한 사유는?

  1. 직계존속 또는 본인이 실거주 예정인 경우
  2. 세입자가 계약 위반을 한 경우 (무단 전대, 월세 미납 등)
  3. 건물 철거 예정 등으로 계약 유지가 불가능한 경우

※ 단, 실거주를 이유로 거절한 경우에도 실제로 거주하지 않으면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3. 전세 재계약 시 체크리스트

  1. 갱신요구권 행사 여부 판단하기 – 이전 계약에서 이미 사용했다면 이번엔 일반 재계약입니다.
  2. 임대인 실거주 계획 확인 – 실거주를 이유로 갱신 거절할 경우 증빙 요구 가능
  3. 보증금 인상률 확인 – 갱신 시 5% 이내로만 인상 가능 (법적 상한선)
  4. 재계약 조건 서면화 – 조건이 정리되면 꼭 문서로 계약서 작성하기
  5. 확정일자 재부여 – 재계약 후에도 새로운 계약서로 확정일자 받아야 우선변제권 확보

4. 이런 실수는 피하세요!

  • 계약 만료 2개월 전까지 아무 연락도 하지 않고 갱신요구권 기회를 날리는 경우
  • 보증금이 5% 이상 인상됐는데도 갱신요구권인 줄 알고 계약하는 경우
  • 임대인의 실거주 의사만 믿고 나갔다가 공실로 남는 경우

5. TIP: 갱신요구권 의사표현은 문서로 남기기

전화나 구두로 말하는 것보다 문자, 이메일, 내용증명 등 서면으로 남기는 게 가장 안전합니다. “나는 갱신요구권을 행사하겠습니다”는 명확한 표현이 필수입니다.

6. 갱신요구권, 반드시 행사해야 할까?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 전세금 시세보다 낮고 집 상태가 양호하면 유지하는 것이 유리 - 반대로 노후된 주택이거나 보증금이 시세보다 높다면 다른 집으로 이사도 고려해 볼 수 있어요.

7. 마무리: 내 권리를 제대로 알고 지키세요!

갱신요구권은 세입자를 보호하기 위한 소중한 권리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요건과 절차를 모르고 사용하면 오히려 불이익을 당할 수 있습니다.

👉 전세 재계약을 앞두고 있다면, 오늘 설명드린 내용을 꼭 체크하고 내 보증금과 주거권을 안전하게 지켜보세요!

오늘도 이 글이 좋으셨다면 좋아요 & 공유 부탁 드려요!

© 2025 Your Blog homereal.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
LIST